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박연구원
- 암호화폐 api
- 비트코인
- 블록체인
- 가상화폐
- 이더리움
- 코로나19
- 코인 투자 전략
- 닝겐
- 트랜잭션
- 코인 자동매매
- 게이또api
- 기획
- 서비스기획자
- 업비트
- 안드로이드
- 닐슨코리아
- 시장분석
- DAPP
- 금융
- 기획자
- blockchain
- hamster kombat
- 토스
- IT
- 스타트업
- 중소중견기업기술로드맵
- 액슈어
- 머니트리카드
- 넷플릭스
- Today
- Total
IT 박연구원
미국 관세 강화, 2025년 코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본문
2025년 들어 미국이 중국, 베트남, 멕시코 등 제조 강국에 대한 관세율을 또다시 상향 조정하며 글로벌 무역 시장은 다시금 긴장 상태에 들어갔습니다. 단순히 무역 문제를 넘어선 이 갈등은 세계 경제 전반에 구조적인 충격을 줄 가능성이 크며, 암호화폐 시장에도 예외 없이 큰 파급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관세 리스크 확대 → 전통시장 하락, 대체자산 수요 급등
주식 및 채권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자금은 대체 자산으로 빠르게 이동 중입니다. 특히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BTC)에 대한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 상승장의 불씨가 될 수 있습니다.
📈 2025년 비트코인 가격 예상 시나리오
- 보수적 시나리오: $55,000 ~ $62,000
- 중립 시나리오: $68,000 ~ $75,000
- 상승 시나리오: $80,000 돌파 가능성 (미국 금리 인하 + 관세 불안 지속 시)
2024년 말 ETF 승인 이후 들어온 기관 자금은 장기 홀딩 성향이 강한 만큼, 일시적 조정이 있더라도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025년 하반기 미국 대선 국면에서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심화될 수 있어 비트코인이 리스크 헤지 자산으로 재평가될 수 있습니다.
📊 알트코인 시장 전망 – 이더리움, 리플, AI 코인 주목
🔹 이더리움 (ETH)
2025년 상반기 Proto-Danksharding 업그레이드가 예정되면서 네트워크 효율성이 대폭 향상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DeFi 및 L2 확장이 가속화되며 $3,800 ~ $4,500선까지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리플 (XRP)
SEC와의 법적 분쟁이 대부분 정리되었고, 국제 송금 시장에서의 XRP 활용 사례가 늘어나면서 $1.2 ~ $1.8까지 점진적인 회복이 기대됩니다.
🔹 주목할 분야: AI & DePIN
- Fetch.ai, Render, Ocean Protocol 등 AI 관련 프로젝트는 2025년 상반기에도 강세 지속
- Helium, Akash 등 분산형 인프라(DePIN) 프로젝트도 기업 채택 증가로 상승 모멘텀 보유
🌍 스테이블코인 수요 증가 – 달러 디지털화 가속
미국의 관세 조치가 글로벌 무역 체계에 혼란을 주면서, 여러 국가에서 자국 통화 대신 스테이블코인(USDT, USDC) 활용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및 남미 신흥국에서는 불안정한 환율을 피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자금을 보존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달러 체계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효과도 있으며, 글로벌 자산 흐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 정리 및 투자 전략
- ✔️ 비트코인: $65,000 이하에서는 분할매수 전략 유효
- ✔️ 이더리움: 업그레이드 일정 체크하며 저점 매수 고려
- ⚠️ 알트코인: 유동성 낮은 종목은 단기 조정 가능성 존재
- ✔️ 스테이블코인: 시장 불확실성 커질 경우, 일정 비율 보유 추천
👉 팁: 2025년 하반기 미국 금리 정책, 대선 변수, 무역갈등 뉴스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니 반드시 뉴스 실시간 확인 + 기술적 분석 병행을 권장합니다.
📌 본 글은 특정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내용이 아니며, 시장 분석 참고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지식상식 > 지식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선불충전 시장 분석 & 휴대폰 소액결제 카드 정리 (0) | 2025.04.21 |
---|---|
IP 무한 확장의 시대, 웹툰/웹소설 시장 왕좌의 주인은? (0) | 2022.05.24 |
저작권 무료 한글폰트 사이트 모음 (0) | 2022.02.24 |
애드센스 국내 SWIFT 은행 식별 코드(BIC) (0) | 2021.08.03 |
2020년 디지털 히트 서비스 (0)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