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친구하기

[시장조사]2018년 : 인스타그램 홍보효과 해시태그 키워드 분석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30. 02:39
반응형

 

 

인스타그램 키워드 분석

 

 지난 13일 인스타그램은 2018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된 해시태그 키워드들을 공개했습니다. 그 결과 가장 인기 있는 카테고리는 패션, 음식, 육아, 여행, 반려동물, K-pop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시태그 키워드는 단어에 해시태그 기호(#)를 붙인 것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콘텐츠를 주제 별로 모아주는 검색어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점차 인스타그램, 트위터와 같은 개인 계정 기반의 마이크로블로그뿐만 아니라 포털 블로그, 포털 카페, 지식검색사이트, 전문 사이트 등 소셜 미디어 전반에 걸쳐 콘텐츠의 핵심적인 내용을 대변하는 장치로써 기능하며 이른바 ‘해시태그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그림1. 해시태그 키워드로 살펴본 2018년 인스타그램 주요 카테고리 -

 

 이에 본 버즈 토픽에서는 2018년 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인스타그램에서 수집된 전체 게시글 중 일간 빈도수 기준 1천 회 이상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패션’, ‘음식’, ‘육아’, ‘여행’, ‘반려동물’과 함께 ‘헬스/건강’과 ‘뷰티’를 포함한 총 7개의 카테고리 별 고(高) 빈도 해시태그 키워드를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인스타그램에서 사람들이 어떤 순간을 가장 많이 포착하고 공유하는지 확인했습니다. 

 

1. 패션 카테고리

- 그림2. 패션 카테고리 내 Top 30 해시태그 키워드 -

첫 번째로 살펴볼 카테고리는 ‘패션’입니다. 패션과 관련된 해시태그 키워드 중 올해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ootd’입니다. OOTD는 ‘Outfit Of The Day’의 줄임말로, 오늘 착용할 옷과 액세서리, 화장, 헤어 등 전체적인 스타일링과 관련된 콘텐츠를 게시할 때 사용하는 해시태그 키워드입니다. 유의어로는 ‘#데일리룩’, ‘#데일리 코디’, ‘#데일리 패션’, ‘#일상룩’이 많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데이트룩’, ‘#커플룩’, ‘#하객룩’, ‘#오피스룩’과 같이 TPO(Time, Place, Occasion)에 맞는 복장과 관련된 해시태그 키워드도 다수 발생했습니다. 한편

‘#여자 친구 룩(여자 친구 룩)’과 ‘#남자 친구 룩(남자 친구 룩)’이 다수 언급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각 해시태그 키워드의 연관 키워드를 통해 이들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봤습니다.

 

- 그림3. #여친룩, #남친룩 관련 Top 20 해시태그 키워드 -

 

 여자 친구 룩의 대표적인 아이템은 ‘#원피스’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어서 ‘#블라우스’, ‘#니트’, ‘#스커트’, ‘#청바지’ 순으로 자주 언급됐으며, 이 중 전체적인 아웃핏을 일컫는 키워드로는 ‘#러블리룩’이 있었습니다. 남자 친구 룩의 연관 키워드로는, ‘#남자 친구 선물’이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언급됐는데 이는 남자 친구에게 옷을 선물하려는 여성들이 인스타그램에서 ‘#남자 친구 룩’ 키워드를 사용해 정보를 탐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편 ‘#박서준 패션’, ‘#지오지아 x박서준’, ‘#박서준’, ‘#지오지아 박서준’이 #남자 친구 룩과 함께 다수 언급된 것으로 보아 지오지아 브랜드가 자사 모델과 인기 해시태그 키워드를 이용해 홍보 효과를 봤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음식 카테고리

- 그림4. 음식 카테고리 내 Top 30 해시태그 키워드 -

 

 음식 관련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먹스타그램’은 주로 자신이 먹은/먹을 음식 사진을 이미지와 함께 게재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해시태그 키워드입니다. 인스타그램에서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면 무려 6천만 개의 게시글에 사용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맛집’, ‘#맛집 탐방’, ‘#맛집 스타 그램’, ‘#맛집 추천’을 통해 인스타그램에서 맛집 검색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것과, ‘#요리’, ‘#요리스타 그램’, ‘#홈쿡’, ‘#쿡 스타 그램’을 통해 직접 요리한 음식을 게재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육아 카테고리

- 그림5. 육아 카테고리 내 Top 30 해시태그 키워드 -

 

 육아 카테고리에서는 전체 7개 카테고리 중 가장 많은 해시태그 키워드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젊 줌마’, ‘#예비맘’, ‘#초보맘’은 공통적으로 인스타그램이 젊은 엄마들의 육아 커뮤니티의 장으로써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SNS에 익숙한 젊은 세대들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육아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를 통해 인스타그램이 포털에서 운영되는 맘스 커뮤니티와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도치맘’은 ‘고슴도치 맘’의 줄임말로, 자녀와 관련된 콘텐츠와 함께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등원 룩’과 ‘#문화센터 룩’은 아이들 뿐만 아니라 엄마들이 아이들을 등원시킬 때 입을만한 간편하면서도 깔끔한 스타일의 옷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인스타그램에 게재된 ‘#등원룩’ 관련 게시글은 약 230만, ‘#문센룩’은 약 14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보아, 육아 정보 검색 플랫폼으로써의 인스타그램의 영향력을 가늠케 했습니다. 

 

4. 여행, 반려동물, 헬스/건강, 뷰티 카테고리

- 그림6. 여행, 반려동물, 헬스/건강, 뷰티 카테고리 내 Top 10 해시태그 키워드 -

 

 행, 반려동물, 헬스/건강, 뷰티의 각 카테고리 별 특징적인 해시태그 키워드가 무엇인지 확인했습니다. 여행 관련 키워드 중에서는 ‘#여행에 미치다’라는 키워드가 눈에 띕니다. ‘여행에 미치다’는 SNS를 기반으로 한 여행 관련 콘텐츠 제작?유통 회사로, 인스타그램에서 약 67만 명의 팔로워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인스타그램에서 ‘#여행에미치다’가 언급된 총 누적 게시글수는 약 420만 건으로, ‘#여행에미치다’라는 해시태그 키워드가 여행에 미치다의 공식 콘텐츠뿐만 아니라 여행 관련 콘텐츠와 함께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반려동물 관련 해시태그 키워드 중 ‘#댕댕이’는 강아지를 지칭하는데, 멍멍이의 ‘멍’과 ‘댕’의 글자 모양이 유사한 데서 착안한 신조어입니다. 이처럼 특정 음절을 비슷한 모양의 다른 음절로 바꿔 쓰는 단어로 ‘머한민국(대한민국)’, ‘커엽다(귀엽다)’, 띵작(명작), 띵곡(명곡) 등이 있습니다. 한편 ‘#개린이’는 ‘개’와 ‘어린이’의 합성어로 반려견을 아이처럼 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신조어입니다. 헬스/건강

카테고리에서는 ‘#다이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건강관리를 위해 ‘#헬스’, ‘#필라테스’, ‘#요가’를 주로 선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끝으로 뷰티 카테고리 내에서는 ‘#코덕’이라는 신조어가 눈에 띄는데 이는 ‘코스메틱 덕후’의 줄임말로, ‘#코덕 스타 그램’, ‘#코덕 그램’, ‘#코덕 소통’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자칭 코덕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을 연결시켜주는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손스타 그램’은 다양한 디자인의 네일아트 관련 콘텐츠를 검색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카테고리 별 주요 해시태그 키워드 중에는 신조어가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로 국문과 영문을 가리지 않고 앞글자를 따서 줄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인스타그램 고유의 신조어인 ‘#oo스타 그램’ 형태의 해시태그 키워드를 선별해서 지난 3년 간의 트렌드를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본 분석 대상에 포함된 총 74개의 ‘#oo스타그램’ 키워드 중, 14개의 키워드가 지속적으로 언급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키워드들은 앞으로도 인스타그램에서 인기 해시태그 키워드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그림7. 주요 카테고리 내 인기 상승 해시태그 키워드 추이 -

 

총 12개의 인기 상승 해시태그 키워드 중 4개는 음식 카테고리와 관련된 것들로, ‘#맛집 스타 그램’, ‘#먹방 스타 그램’, ‘#요리스타 그램’, ‘#쿡 스타 그램’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밖에 패션 카테고리에서는 ‘#패션스타 그램’이, 육아 카테고리는 ‘#육아 스타 그램’이, 운동&헬스 카테고리는 ‘#운동 스타 그램’이, 뷰티 카테고리는 ‘#뷰티스타 그램’이 지속적으로 언급량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 그림8. 주요 카테고리 외 인기 상승 해시태그 키워드 추이 -

 

 한편, 인스타그램 내 주요 카테고리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지속적으로 언급량이 상승하는 해시태그 키워드가 있었는데, ‘#책 스타 그램’, ‘#북스타 그램’, ‘#그림 스타 그램’, 그리고 자신의 공부 스케줄을 공유하는 ‘#공 스타 그램’이었습니다. 이들은 현재까지 인스타그램에서 각각 210만, 210만, 140만, 190만 건의 누적 게시글에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올 한 해 인스타그램에 작성된 게시글 속에서 사용된 해시태그 키워드들을 통해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가 무엇이고, 그들이 자신들의 관심사를 드러내기 위해 어떤 키워드를 주로 사용하는지 살펴봤습니다. 그 과정에서 그들의 일상 속 다양한 순간들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젊은 층을 기반으로 해시태그를 포함하여 커뮤니케이션하는 행태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특색 있는 해시태그는 신조어의 출현과 함께 공유의 아이콘으로써 새로운 세태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그 안에서 순간을 함께 공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마케팅 목적으로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

댓글()

[IT제품시장조사] 무선 이어폰의 변신 : 2019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28. 15:58
반응형

 

무선 이어폰의 변신은 어디까지일까?

 

 

 지난 4월 17일 애플의 무선 이어폰 ‘에어팟(Airpods) 2세대’가 국내에 출시됐습니다. 에어팟 2세대는 애플이 새롭게 개발한 칩을 탑재해 음성으로 시리(Siri)를 호출할 수 있고, 무선 충전 케이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1세대와 비교해 연결 및 전환 시간이 줄어들었다는 점이 가장 큰 변화입니다. 2016년 말에 처음 출시된 에어팟은 이른바 ‘완전 무선 이어폰’ 시장을 개척한 선구자로, 이후 음질?연결성?사용시간 등 무선 이어폰이 가진 고질적 단점은 보완하면서 가격 부담은 낮춘 제품들이 잇달아 출시되면서 무선 이어폰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소셜 미디어 내 무선 이어폰 관련 게시글수 추이를 통해서도 확인됩니다.

 

 

- 무선 이어폰 언급 게시글수 추이-

 

 특히 올해 1분기 무선 이어폰 언급 게시글수는 전 분기 대비 30% 이상 증가했는데, 이는 에어팟 2세대 제품 출시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삼성전자가 갤럭시 S10 출시에 맞춰 공개한 ‘갤럭시 버즈(Galaxy Buds)’에 대한 높은 관심도의 영향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에 금월 버즈 토픽에서는 지난 1분기 무선 이어폰을 언급한 약 6만 1천 건의 게시글을 분석해 무선 이어폰에 대한 게시글이 주로 어떤 채널을 중심으로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무선 이어폰과 함께 언급된 주요 브랜드와 속성을 확인했습니다. 끝으로 무선 이어폰과 함께 언급된 주요 평가어를 확인함으로써 무선 이어폰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자의 인식을 살펴봤습니다.

 

- 무선 이어폰 언급 게시글 주요 채널-

 

 지난 1분기 무선 이어폰 관련 게시글을 가장 많이 생성한 채널은 ‘트위터(41%)’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트위터에서는 주로 인기 아이돌이 사용하는 특정 제품에 대해 리트윗하거나, 자신의 무선 이어폰 사용 경험담을 이야기하는 게시글이 지속적으로 게재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 ‘블로그(32%)’에서는 제품별 스펙과 타 제품 대비 장단점을 상세히 비교한 개봉 후기 및 각종 할인 정보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클럽(11%) 중에서는 ‘이어폰/스마트폰 관련 커뮤니티’나 ‘디젤 매니아’, ‘쭉빵카페’와 같이 젊은 층의 이용률이 높은 커뮤니티에서 무선 이어폰 관련 게시글이 다수 발생했습니다.

 

무선 이어폰 브랜드 비교 및 속성

 

 2019년 1분기에 무선 이어폰과 함께 가장 많이 언급된 브랜드는 압도적인 차이로 에어팟을 출시한 애플이 차지했습니다. 특히 에어팟 2세대의 국내 출시일에 대한 문의가 쏟아지고, 1세대 제품과 비교해 개선된 스펙을 공유하는 게시글이 주를 이뤘으며, 충전기 케이스에 각인을 새기거나 키링을 다는 등 에어팟 악세서리 관련 게시글도 끊임없이 생성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삼성전자가 ‘갤럭시 버즈(Galaxy Buds)’의 영향으로 많이 언급됐으며, 에어팟과 스펙을 비교하는 게시글이 다수 발생했습니다. 뒤이어 QCY에서 출시한 T1 제품은 가성비 면에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무선 이어폰 제품과 관련해서 가장 많이 언급된 속성은 ‘가격’입니다. ‘갓성비’라 불리는 2만원대 QCY 제품부터 약 130만원에 이르는 루이비통 제품까지, 무선 이어폰의 가격 차는 천차만별입니다. ‘음질’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유선 이어폰과 비교해 좋지 않다는 인식이 존재하지만 가성비 좋은 제품들의 경우 예상보다 깨끗한 음질이 놀랍다는 반응도 많았습니다. 또한 무선 충전 방식 기능과 개선된 배터리 성능으로 더욱 짧아진 충전 시간과 늘어난 사용 시간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디자인이나 페어링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끝으로 무선 이어폰과 함께 언급된 주요 평가어를 통해 무선 이어폰 전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무선 이어폰에 대한 인식 -

 

 무선 이어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편하다’는 점입니다. 이동 시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을 할 때 엉키거나 몸에 닿는 선이 없어 편리하다는 점이 무선 이어폰을 선택하는 근본적인 이유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이 ‘깔끔해서’ 소장품으로써도 매력이 있다는 반응입니다. 반면 에어팟이나 갤럭시 버즈와 같은 고가의 완전무선이어폰 제품의 경우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인해 구매가 망설여진다는 반응도 다수 존재했습니다. 한편 사용 중에 연결이 ‘끊기는’ 현상이 잦고, 사용 가능 시간이 ‘짧다’는 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와 같은 무선 이어폰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요인을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나날이 성장하는 국내 무선 이어폰 시장의 추가 성장 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무선 이어폰이 인공지능 서비스와 연동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내 입지가 더욱 공고해지고 있는데, 이를 방증하듯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에서도 신형 무선 이어폰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향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무선 이어폰 시장에서 어떤 신형 무선 이어폰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반응형

댓글()

[시장분석]'워라밸’ 트렌드에 따른 취미 및 관심사 전문 모바일 서비스 이용행태 분석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19. 22:45
반응형

 

 

소확행 , 워라밸

 

 

1. ‘워라밸’ 트렌드 등장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지난 2018년 7월 1일부터 주당 법정 근로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종업원 300인 이상의 사업장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과 더불어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이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사람들의 Daily Life Cycle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주부 수강생이 주를 이루었던 백화점 및 대형마트 내 문화센터 강좌에 최근 직장인 수강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홈 인테리어, 요리 등의 분야에 관심이 집중되며 ‘홈 코노미(Home+Economy)’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한 것은 이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2017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일.가정 양립 지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근로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의 응답자 중 ‘가정생활을 우선시한다’ 또는 ‘일과 가정생활이 비슷하다’고 답한 비율이 56.9%로 2년 전 대비 10% p 이상 증가한 모습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의 응답률이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40대, 50대, 20대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가정과 일의 우선도 조사 -

 

 이렇듯 ‘워라밸’ 트렌드는 30대와 그 주변의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개인의 취향에 맞춰 삶의 만족도를 높이려는 생활패턴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본 토픽에서는 생활밀착형 디바이스인 모바일의 이용행태 분석을 통하여 ‘워라밸’ 트렌드에 따른 개인의 세분화된 취미 및 관심사 변화를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분석을 위해 주요 취미/관심사 전문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6개의 그룹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조사 대상의 그룹들은 ‘워라밸’ 트렌드로 파생된 주요 여가 행태로써,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더불어 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18년 한 해 동안 사업자들이 유사 서비스와의 차별성을 확보하고 경쟁 우위를 선점하고자 하는 마케팅 활동과 사업 전략이 활발하였던 것으로 평가됩니다.

 

 

- 취미/관심사 전문 서비스 그룹별 정의 -

 

2. 취미/관심사 전문 모바일 서비스의 성장

 

 그룹별 연간 월평균 순이용자수의 추이를 분석해보면, 분석 대상 내 모든 그룹에서 연평균 1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취미/관심사 전문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관심이 증가한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피트니스’와 ‘인테리어’ 그룹의 순이용 자수는 연평균 3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6개의 그룹 중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나타내었습니다.

 

 

- 그룹별 연간 월평균 순이용자수 추이 -

 

 

순 이용자수를 기준으로 그룹별 상위 서비스들을 살펴보면, ‘요리’ 그룹은 반찬, 탕국 등 다양한 레시피 콘텐츠를 제공하는 App들이 상위권을 차지하였고, ‘피트니스’ 그룹은 최근 떠오르는 ‘홈트레이닝’ 트렌드를 반영하며 셀프 운동법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액티비티’에서는 골프 관련 서비스들이 1~3위를 모두 차지하였으며, ‘인테리어’ 그룹에서는 인테리어 노하우를 공유하는 소셜미디어 기능뿐만 아니라 실제로 콘텐츠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마음에 드는 상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커머스 기능까지 직결해 서비스 제공 범위를 확장한 서비스들이 상위에 포진하였습니다.

 

 

- 그룹별 순이용자수 기준 Top 3 서비스 -

 

 그룹별로 이용자의 인구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여성의 선호 차이가 확인되었습니다. 크게 ‘요리’, ‘공연/경기 관람’, ‘피트니스’, ‘인테리어’ 그룹에서는 여성의 비중이, ‘액티비티’, ‘모임/강의’ 그룹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높았습니다. 이 중 앞서 급성장 그룹으로 언급된 ‘피트니스’, ‘인테리어’ 그룹은 30대 여성 연령층 이용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그룹으로, 실내 활동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공통 속성을 지니고 있는데, 최근 ‘나 혼자’ 중심의 경험이 중요시되면서 집 안에서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트렌드가 반영된 현상으로 해석됩니다.

 

 

- 그룹별 이용자의 성x연령 비중 비교 -

 

 

3. 취미/관심사 전문 모바일 서비스 기간별 이용패턴

 

 취미/관심사 전문 서비스들의 2018년 월별 순이용자수 추이를 살펴본 결과, 두 가지의 특징이 확인되었습니다. 먼저, ‘공연/경기 관람’, ‘피트니스’, 액티비티’, ‘모임/강의’ 등 야외활동과 연계된 서비스 그룹은 계절적 변화가 이용자 수 증감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공연/경기 관람’ 그룹은 프로야구 등 주요 스포츠 시즌의 개막 시기인 4-5월에 이용자 수가 증가하는 모습이 확인되었고, ‘피트니스’와 ‘액티비티’, ‘모임/강의’ 그룹은 각종 레포츠 활동을 탐색하거나 몸을 가꾸려는 사람들의 수요가 증가하는 7-8월에 트래픽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또, 하나 주목할 점은 타 그룹 대비 비교적 계절적 요인이 적은 ‘요리’ 및 ‘인테리어’ 그룹이 2018년 한 해 동안 이용자수가 급증하였다는 점입니다. 이 두 그룹은 취미/관심사 관련 서비스 중에서도 시공간적 제약이 적고, 혼자서도 집에서 쉽게 시도할 수 있으며, 의식주와 직결된 필수재 특성을 지닙니다. 이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잠재적 수요자층이 두텁고, 새로운 이용자들도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기반으로 2018년 한 해 동안 크게 성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2018년에는 다양한 취미/관심사 중에서도 ‘홈 코노미’ 키워드로 대표되는 가정 및 생활 관련 분야의 모바일 서비스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 2018년 월별 그룹 순이용자 추이 -

 

 요일별 분석에서는 그룹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이용 목적이 발현되는 시기가 상이하여 각 그룹의 이용자 집중 시점도 차이를 보였습니다. 평일엔 ‘피트니스’ 그룹이 일과시간 전후의 높은 피트니스 활동 수요를 드러내며 월~목요일의 이용자수가 금~일요일에 우세하였고, 주말을 앞둔 금요일에는 ‘공연/경기 관람’과 ‘액티비티’ 그룹이 주말 이벤트에 대한 사전 정보 탐색 및 예약/구매 활동 니즈가 반영되며 최고 이용자 수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한편, 주말엔 ‘모임/강의’ 그룹은 주말을 활용해 동호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요로 토요일의 이용자 수 수준이 타 요일 대비 우세하였습니다.

 

- 요일별 순이용자수 상대비교 -

 

 시간대별로 살펴보면, 크게 주간과 야간에 이용자수가 집중되는 그룹들로 나뉘었습니다. 주간의 이용자 수가 야간에 비해 많았던 그룹은 ‘요리’, 액티비티’, ‘공연/경기 관람’ 그룹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요리’ 카테고리는 아침 및 저녁 식사 준비에 필요한 콘텐츠를 탐색하는 08시와 17-18시에 이용자 수가 집중되었습니다. 또한 ‘액티비티’ 그룹은 실제 야외활동 발현 시점에 해당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성이 반영되며 12-15시에 가장 높은 이용자 수를 기록하였습니다. 한편 ‘공연/경기 관람’ 그룹은 특정 시점에 티켓 예매를 오픈하는 등 사업자에 의해 수요가 좌우되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 행태는 대부분 오후 시간대에 발현되고 있었습니다.

 

반면, 야간 시간대에 이용자가 집중되었던 ‘모임/강의’, ‘인테리어’ 그룹은 서비스 이용자가 충분한 정보 탐색을 필요로 함으로써, 비교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저녁과 밤 시간대에 이용자수가 집중되었고, ‘피트니스’ 그룹은 일과 후 가벼운 운동을 통해 하루를 마무리하려는 사람들로 20-21시에 가장 높은 트래픽을 기록하였습니다.

 

- 시간대별 상대적 이용자수 추이 -

 

 

4. 취미/관심사 전문 서비스 그룹별 주요 모바일 App 분석

 

 서비스별로, ‘요리’, ‘공연/경기관람’, ‘액티비티’, ‘모임/강의’ 그룹은 2018년 한 해 동안 그룹 내 1위 서비스가 확고한 경쟁 우위를 보인 반면, ‘피트니스’, ‘인테리어’ 그룹은 1위 사업자가 시기에 따라 변동하며 역동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두 그룹은 앞서 살펴본 자료에서 여성 30대가 주 고객층을 이루고 있고, 일과 후 여유시간을 활용한 서비스 이용이 많으며, 비교적 최근 2018년 한 해 동안 성장한 산업군으로 사업자들 간의 경쟁구도 변동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2018년 분기별 그룹 내 Top App -

 

2018년 매 분기 이용자수 1위를 유지한 그룹별 서비스들은 모두 그룹 내 50% 이상의 도달률로 확고한 입지를 다졌으며, 이용 유지율 또한 모두 70% 이상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본 서비스들이 이용자에게 각 그룹 내 타 유사 서비스 대비 충분한 효용성과 만족감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습관적 이용을 유도하고 더 나아가 추가 이용자 확보에도 긍정적인 성과를 얻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이미 해당 분야 내 선두 사업자로 자리한 ‘인터파크 티켓’ 및 ‘골프존’의 모바일 서비스를 통한 시장지배력 강화와, 모바일 App을 기반으로 주요 사업자에 자리한 ‘요리백과’ 및 ‘소모임’의 성장세라는 두 가지 특징이 엿보였던 한 해였습니다.

 

 

- 주요 그룹의 1위 서비스별 세부 이용행태 분석 -

 

 한편, 2018년 중 1위 사업자에 변동이 있었던 ‘피트니스’와 ‘인테리어’ 그룹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피트니스’ 그룹에서는 하계 시즌과 더불어 집에서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무료로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홈트레이닝’ App들의 이용자 수가 증가하였습니다. 이후에는 헬스장 회원카드 기능이 탑재된 서비스인 ‘JoyFit’와, 여러 제휴 피트니스센터 및 각종 운동 시설들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월 정액으로 이용할 수 있는 ‘TLX Pass’ 등과 비슷한 수준의 이용자 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인테리어’ 그룹은 기존 Major Player가 부재한 가운데, ‘오늘의 집’이 인테리어 관련 콘텐츠 서비스에 커머스 기능을 추가하고 SNS를 활용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빠른 성장을 이뤘습니다. 그 결과 Google Play Store에서 선정한 ‘2018년 올해의 앱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19년 한 해에도 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경쟁 그룹 내 주요 모바일 서비스 동향 -

 

5. 맺음말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뜻하는 ‘소확행’, 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 형태를 의미하는 ‘가심비’,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며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스페인 단어 ‘케렌시아(Querencia)’등은 2018년 한 해 트렌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단어들로 회자되었습니다. 1인 가구수가 증가하고 근로시간이 제도적으로 제한되면서 개인이 취미와 관심사를 추구하는 현상은 모바일 이용행태의 변화를 통해서도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아직 Major Player가 부재한 분야에 대해서는 신규 서비스 사업자도 질 좋은 콘텐츠와 완성도 있는 UX를 갖춘다면 1위 사업자로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도 포착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생활과 밀착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2019년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

[시장분석] 모바일 콘텐츠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서비스의 특성 및 이용패턴 분석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17. 00:09
반응형

 모바일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온라인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었고 모바일은 전화, 문자 위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에서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여가, 오락의 수단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최근 모바일 앱 주요 카테고리의 평균이용시간을 보면, 유틸리티/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는 감소세, 그외 대부분의 카테고리는 보합세를 보인 반면,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보급된 2015년 이후에도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엔터테인먼트 분야에는 가장 널리 알려진 동영상 외에도 모바일 환경의 특수성에 의해 재발견되고 있는 제2, 제3의 콘텐츠 서비스가 있습니다. 현재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 내 주요 서비스 중 동영상 앱은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약 80%가 사진, 음악, 오디오, 웹툰/웹소설, 영화 등의 다양한 콘텐츠 앱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모바일 시장에 진출한 기존 콘텐츠 사업자 및 중소규모 신생 사업자에 의해 출시되어 매월 이용자수, 이용시간의 등락을 보이며 시장의 다변화를 통한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Mobile App 카테고리별 평균이용시간 및 엔터테인먼트 내 콘텐츠 App 비중/성과** -

 

 서브컬처로 인식되던 만화는 웹툰의 성장에 힘입어 어느덧 이용시간 측면에서 동영상의 뒤를 바짝 쫓고 있으며, 영화 산업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큐레이션 서비스가 기성 사업자를 긴장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IoT, AI 디바이스가 출시되면서 네이버, 구글 등 주요 IT기업의 투자를 받고 있는 오디오 콘텐츠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토픽에서는 모바일 시대를 맞아 떠오른 주요 콘텐츠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서비스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플랫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전략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1.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서비스의 성장

 

모바일 시대를 맞아 떠오른 주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인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앱은 2010년대 중반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한 달에 약 869만명, 540만명, 399만명이 이용하는 서비스로 자리잡았습니다.

 

-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Mobile App 이용자수 추이 -

 

 이러한 성장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유입이 배경이 되었습니다. 2015년 10, 20대가 60% 이상을 차지하였던 웹툰/웹소설은 콘텐츠 장르를 확대하고 대대적인 광고를 집행하면서 구매력을 보유한 30, 40대를 확보하여 보편적 서비스로 진화하였습니다. 영화 장르는 모바일에서도 극장가 대목에 서비스 이용자가 증가하였던 것으로 보아, 예매기능 위주의 앱에서 모바일 이용 숙련도가 향상된 40대 이상 중장년층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기존에 40대 이상 이용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던 오디오 장르는 여전히 40,50대의 이용이 53%로 지배적이나, 젊은 층을 겨냥한 콘텐츠와 개인방송 라이브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10대 이용자도 소폭 유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Mobile App 연령대별 이용자 비중 변화 -

 

 

2.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시간대별 이용패턴

 

 

 각 콘텐츠의 소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대별 이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웹툰/웹소설은 타 장르에 비해 늦은 시간대(밤 23시~새벽 5시)에도 많은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웹툰/웹소설은 심야에 소비하기에 부담 없는 콘텐츠로, 주요 포털의 웹툰 업데이트 시간 전략(23, 24시)이 주효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웹툰/웹소설 장르의 Mobile App 시간대별 이용자 및 이용시간 비중 -

 

 장르는 이용자수 기준으로 16-17시, 19시 이용이 집중되었고 본격적인 여가시간인 20시 이후 이용자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현 시점에서 많은 이용자의 영화 앱 이용패턴이 영화를 보기 전 예매/탐색 등 준비과정에 집중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다만, 이용시간 기준으로 23시 전후 이용이 높게 나타나, 일부 이용자는 앱을 통해 콘텐츠를 오랜 시간 감상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영화 장르의 Mobile App 시간대별 이용자 및 이용시간 비중 -

 

오디오 장르는 오전 7시에 이용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모바일 앱 시장에서도 여전히 라디오 콘텐츠가 출근 시간대에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용시간 기준으로는 전 시간대에 걸쳐 여러 차례 증가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오디오 콘텐츠의 특성상, 이용자별로 다양한 상황에서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오디오 장르의 Mobile App 시간대별 이용자 및 이용시간 비중 -

 

 

3.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 내 사업자별 서비스 유형화 분석

 

스마트폰을 통한 콘텐츠 유통환경이 초창기 앱스토어에서 개별 앱으로 확장되면서 동일한 콘텐츠 장르에도 다양한 활용성을 겨냥한 앱이 등장하였습니다. 따라서 서비스를 사업자 및 플랫폼 특성별로 분류하여 이용행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합니다. 분석을 위해 온/오프라인에서 각 콘텐츠 장르의 주도권을 보유한 ‘기존 사업자’의 앱 그룹과 디지털/모바일 시대에 등장한 ‘신생 사업자’ 중심의 앱 그룹을 구분하였습니다.

 

장르별 플랫폼 사업자별 구분

 

1) 기존-신생그룹 이용자수 및 이용자 연령대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모두 기존그룹의 이용자가 신생그룹 대비 1.7~5.7배까지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 사업자가 콘텐츠 산업의 경험, 인지도를 토대로 모바일 시장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영화 및 오디오 장르의 신생그룹은 두자리수의 높은 성장률로 이용자 규모를 키워나가고 있으며, 전 장르에서 기존그룹 대비 신생그룹의 10,20대 이용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에 주목할 만합니다.

 

그중에서도 웹툰/웹소설의 신생그룹은 포털 웹툰의 성장 초기와 마찬가지로 20대의 이용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신생그룹 내 콘텐츠가 마니아틱한 장르물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웹툰/웹소설의 신생그룹 이용자는 기존그룹의 앱을 중복 이용하는 비율이 약 67%로 높게 나타나, 웹툰/웹소설 장르 자체에 대한 헤비유저로서 두 그룹 모두 콘텐츠를 얻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영화는 신생그룹을 위주로 20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고, 오디오의 신생그룹은 10, 20대 이용자만큼이나 30대 이상 이용자가 많은 것이 특징적이었습니다. 이는 신생그룹의 팟캐스트에서 기존 매체가 다루지 않은 전문적인 콘텐츠를 다수 제공한 영향으로 추정되는데, 오디오 장르에서는 향후 젊은 연령층에 소구할 수 있는 콘텐츠 보강이 필요해 보입니다.

 

 

-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기존-신생 그룹별 이용자 규모 및 특성 -

 

 

2) 기존-신생그룹 이용자의 활동성 및 재이용패턴
기존 및 신생그룹의 활동성 성과를 비교한 결과, UI/UX 편의 및 IT트렌드 측면의 경쟁력을 토대로 전반적으로 신생그룹 이용자의 높은 활동성이 드러났습니다. 영화에서는 넷플릭스, 왓챠 중심의 신생그룹이 추천 서비스를 통한 시장 진입 후 SVOD(Subscription Video On Demand)서비스를 잇따라 출시하면서 해당 장르의 모바일 활동성 증가를 견인하였고, 오디오에서는 평균실행횟수 측면에서 신생그룹이 기존그룹의 2배에 가까운 활동성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오디오 장르에서 두 그룹이 제공하는 콘텐츠 및 소비방식의 차이로 인해 기존그룹 대비 신생그룹에서 평균이용시간이 다소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방송사 앱 위주의 기존그룹에서 스트리밍 라디오 콘텐츠를 주로 제공하고, 신생그룹에는 호흡이 짧은 다운로드형 콘텐츠가 많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웹툰/웹소설 장르는 신생그룹이 1인당 700분 이상 매우 긴 시간 이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규모의 콘텐츠 확보, 방송/영화 영상 등 관련 장르의 앱 통합을 진행해 온 포털 위주 기존그룹의 활동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기존-신생 그룹별 주요 활동성 성과 -

 

 웹툰/웹소설 장르는 활동성 성과에서 드러난 것과 마찬가지로, 1-5일, 1주 이용자만큼 25일 이상, 4,5주 이용하는 헤비유저의 비중이 높았습니다. 이러한 양상은 신생그룹보다 기존그룹에서 더욱 강하게 발현된 것으로 보아, 현재 웹툰/웹소설 시장에서는 포털 위주의 기존그룹이 대중성과 충성도를 겸비한 서비스로 자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영화 장르는 두 그룹 모두 한 달에 1-5일, 1주 이용한 라이트유저가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영화 장르의 기존그룹 이용자는 약 76%가 한 달에 5일 이하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그룹이 게임, 테마/태그별 영화 검색, 평점 공유 등 앱내 영화 관련 콘텐츠를 추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모바일에서 즐겨찾는 서비스로 확장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오디오 장르의 경우, 두 그룹이 유사한 패턴을 보였는데, 모두 한 달에 5일 이하(54%, 50%) 이용한 라이트유저가 많았으나, 이용주수 기준으로는 다섯 주 중 4주,5주 규칙적으로 이용한 이용자가 40% 이상을 차지하였습니다. 즉, 오디오 콘텐츠는 매일 소비되지 않지만, 매주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소비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는 콘텐츠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콘텐츠의 업데이트 주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므로 사업자는 콘텐츠 제공방식 및 업데이트 주기를 다양화하는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장르의 이용일수/이용주수별 이용자 비중 -

 

4. 맺음말

디지털 콘텐츠의 주 소비환경이 모바일로 이동하면서 동영상 이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서비스가 성장하였으며, 동일 장르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별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이용패턴이 다양화되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앞서 살펴본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세 장르에서는 전반적으로 신생 사업자의 서비스에서 10,20대 이용자의 비중이 크고 이용자의 활동성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이미 이용자 기반을 확보한 기존 사업자라 할지라도 다양한 신생그룹의 서비스 업데이트 사항 및 이용자의 피드백을 관찰하며 시장의 트렌드를 읽고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다만, 그안에서도 웹툰/웹소설 장르는 포털 위주의 기존그룹이 신생그룹을 뛰어넘는 활동성 성과를 보이며 빠른 속도로 이용자 규모를 불려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존 사업자의 지배력이 강화되는 분야의 경우, 신생 사업자는 이용자가 기존그룹에 흡수될 수 있음을 유념하여, 콘텐츠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활동성 측면에서도 헤비유저 생태계 내 지속할 수 있는 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시장조사] 이커머스 (쇼핑몰) 구매 후기 비교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15. 00:37
반응형

구매 후기 속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 방법

  소비자가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상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해당 상품을 직접 구매해본 사람들의 평가는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온라인 상의 구매 활동(이하 ‘전자상거래’)으로 한정해보면, 특정 상품에 관심이 있는 잠재적 구매자는 상품에 대한 다른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창구로써 가장 먼저 상품에 작성된 구매 후기를 참고할 것입니다. 더욱이 [그림1]에서 확인되듯, 통계청 추정 2018년 3분기 전자상거래 판매액이 28조 원을 넘어서고 전자상거래 이용 규모 역시 매년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작성한 구매 후기를 활용한 고객과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 도출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 [그림1] 전자상거래 판매액/이용자수 추이 -

 

 이에 대응하여 이커머스 사업자는 자사가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관심도와 구매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구매 후기 작성 시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우수 후기를 선정해 선물을 주는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매 후기 작성 시 구매자의 정보(성, 연령, 사이즈 외)를 함께 선택하게 하거나, 사진과 함께 작성할 경우 추가 포인트를 지급하는 등 고객 정보와 연계된 보다 풍부한 구매 후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에 착안해 본 버즈 토픽에서는 닐슨 버즈워드가 작년 하반기에 국내 주요 이커머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구매 후기 페이지에서 수집한 약 900만 건의 구매 후기를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구매 후기가 사업자와 소비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지 확인했습니다.

- [그림2] 사업자별 구매 후기 분석 결과: 속성 별 비중¹ -

 

 가장 먼저 사업자별 전체 구매 후기를 통해 속성 별 비중을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배송’ 관련 언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대부분 배송이 빨라서 좋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는데, ‘배송이 느리다’는 언급의 비중은 위메프>티몬>옥션>쿠팡>11번가>지마켓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구매 후기에 드러난 주요 속성은 대체로 ‘가격’, ‘사이즈’, ‘품질’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모든 제품군을 포함한 결과로, 제품군마다 속성별 비중이 다를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제품군에 가장 많은 구매 후기가 생성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그림3] 이커머스 사업자별 구매 후기 개수 TOP 5 카테고리¹ -

 

 그 결과 공통적으로 식품 관련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은 구매 후기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배송 인프라의 발달로 배송 시간이 단축되면서 식품군이 전자상거래의 주요 상품군으로 부상하며 부피나 무게와 관계없이 다양한 식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과 맞물려 식품 카테고리의 특성 상 배송 과정에서 변질될 우려가 높아 이와 관련하여 타 제품군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많은 후기가 발생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실제로 분석 기간 내 다수 언급된 주요 식품에 ‘간식’, ‘고구마’, ‘고기’, ‘김치’, ‘배추’, ‘쌀’, ‘우유’, ‘커피’, ‘사과’, ‘귤’, ‘치즈’, ‘토마토’, ‘오징어’ 등 다양한 제품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식품’ 카테고리에서 구매자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속성을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식품’ 카테고리로만 별도로 분리된 지마켓, 쿠팡, 11번가의 주요 속성 별 언급 비중을 확인했습니다.

 

- [그림4] ‘식품’ 카테고리 구매 후기 분석 결과: 속성 별 비중¹ -

 

 식품 카테고리에서 발생한 구매 후기에서도 배송 관련 언급량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이를 사업자 별 전체 구매 후기 비중과 비교해보니 식품 카테고리 내 배송 언급 비중이 모든 사업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식품에 대한 구매자의 배송 관련 관심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유통기한’과 ‘포장’ 관련 언급 비중도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도 눈에 띕니다. 한편 쿠팡의 경우, ‘재구매’ 의도를 언급한 비중이 타 사업자 대비 높은 것으로 확인돼, 식품 카테고리 내 쿠팡의 경쟁력을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사업자별 전체 구매 후기와 식품 카테고리 내 구매 후기에 드러난 소비자의 주요 속성 별 관심도를 비교·분석했습니다. 다음으로 구매 후기에 드러난 소비자의 태도가 어떠한지 사업자별 긍?부정 평가어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구매 후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긍정 평가어를 사업자별로 확인했습니다.

- [그림5] 사업자별 구매 후기 분석 결과: 긍정 평가어 비중¹ -

 

  전체적으로 ‘만족하다’라고 언급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뒤이어 ‘괜찮다’, ‘마음에 들다’, ‘쓸만하다’와 같이 긍정적인 감정의 강도가 약한 표현이 주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외 ‘짱이다’, ‘훌륭하다’, ‘득템’ 등 높은 만족도를 드러내는 표현도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그림6] 사업자별 구매 후기 분석 결과: 부정 평가어 비중¹ -

 

 이밖에 구매 후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부정 평가어는 ‘아쉽다’, ‘별로다’, ‘나쁘다’, ‘실망이다’ 등인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같은 특징적인 부정 평가어를 포착해 추가 분석을 수행한다면 ‘어떤 제품이’, ‘어떤 면에서’ ‘아쉽고/나쁘고/별로고/실망인지’에 대한 요인 분석이 가능할 것입니다. 또한 ‘깨지다’, ‘새다’, ‘찌그러지다’, ‘찢어지다’, ‘터지다’는 모두 배송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키워드로, 이와 같이 특정 속성과 관련된 부정 평가어 키워드를 상시 모니터링함으로써 마케팅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처럼 실제 소비자가 작성한 방대한 양의 구매 후기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사업자가 제공하는 특정 제품 또는 제품군에 대해 구매 평점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세부적인 평가 요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자는 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매한 수많은 고객들의 만족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소비자는 상품 구매 시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원으로써 구매 후기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구매 후기를 통해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가 여과없이 공유되는 현상은 점차 가속화될 것이며, 이에 따른 국내 이커머스 사업자의 구매 후기 분석은 상품 기획 단계부터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정보원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입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

[시장조사] ‘킹덤’ 효과, 향후 Netflix의 지속 성장을 위한 방안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11. 08:32
반응형

 

 

넷플릭스

 

‘킹덤’ 효과, 향후 Netflix의 지속 성장을 위한 방안

 

1. ‘킹덤’ 효과 분석

 

2019년 1월 25일 Netflix를 통해 전세계 동시에 개봉된 ‘킹덤’은 Netflix가 제작한 최초의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로 일반적인 드라마처럼 지상파 방송사, 케이블 또는 종합편성TV를 통해 방송되지 않고 오직 Netflix에서만 방송됨에도 불구하고, ‘시그널’의 김은희 작가와 ‘터널’의 김성훈 감독, 주지훈, 류승룡, 배두나 등 탄탄한 배우진으로 기획 단계에서부터 국내에서 큰 화제가 되었던 작품입니다. 실제로 ‘킹덤’이 개봉한 지난 1월 국내 PC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Netflix’ 서비스 추정 순이용자가 전월 대비 65.6% 대폭 늘어나 단숨에 200만을 넘어섰고, 평균이용시간도 273분으로 전월 대비 6.8% 증가하며 ‘킹덤’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조사 범위에서 제외된 고정형 TV와 아이폰 사용자를 포함할 경우 Netflix의 증가 효과는 더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

 

 

- Netflix PC+Mobile(Android) 이용자수 및 평균이용시간 추이 -

 

 

‘킹덤’ 효과로 Netflix 서비스는 다양한 연령층으로 이용자 저변이 확대되는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Netflix의 기존 핵심 이용자층인 20대가 24만명 늘어나 가장 많은 이용자가 유입되었으나, 그 외 30대와 40대는 23만, 50 대 이상 고연령층도 13만명 늘어나 다양한 연령대로의 이용자들이 신규로 유입되었습니다. 그 중 40대와 50대 이상 이용자들은 평균 이용시간도 크게 증가해, 기존 중장년층 Netflix 이용자들의 활동성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etflix PC+Mobile(Android) 연령대별 이용자수 및 평균이용시간 변화 -

 

 

 또한, 이번 Netflix의 성과 개선은 주요 동영상 서비스들 내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로 평가됩니다. YouTube의 이용자 규모 및 평균 활동성이 지속 성장해 시장 내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지배적인 동영상 사업자로서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는 가운데, 포털 및 통신사, 전문 동영상 서비스들은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이용자 규모가 축소되었고, 평균 활동성도 통신사 서비스를 제외하면 모두 하락한 모습입니다. 반면 Netflix는 300% 이상의 높은 이용자 규모 성장률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평균 활동성 또한 143%로 대폭 증가해, 이용자 규모 확대와 충성 이용자층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 주요 동영상 서비스 PC+Mobile(Android) 이용자수/평균 이용시간 성과 및 YOY 증감 -

 

2. 향후 Netflix 지속 성장을 위한 방안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들에도 불구하고, ‘킹덤’ 효과가 거둔 성과에 우려 섞인 시선들을 보내는 것은 Netflix의 콘텐츠가 국내에서 큰 화제가 되고 화제성이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졌던 것은 ‘킹덤’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예로, 봉준호 감독의 ‘옥자’는 Netflix 서비스가 국내 론칭되기 전인 2015년 11월부터 Netflix가 제작비 전액을 투자한다는 사실로 화제가 되었던 콘텐츠로, 이후 칸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진출 및 온라인과 극장에 동시 개봉이라는 전례 없는 유통 전략 등으로 또 다른 화제를 불러모았던 콘텐츠였습니다.
이러한 화제성에 힘입어 ‘옥자’가 개봉된 2017년 6월 Netflix 서비스 이용자는 전월 23만명에서 3배 이상 대폭 늘어난 76만명으로 이용 규모가 급격히 확장되었으나, 한달이 지난 8월에 들어서면서 이용자가 절반 가까이 감소해 ‘옥자’ 효과는 일시적인 효과에 그쳤습니다. 이는 ‘옥자’를 보기 위해 Netflix의 첫 달 무료 이용 정책을 이용해 손쉽게 유입된 이용자들이 ‘옥자’를 감상한 후 다른 콘텐츠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이탈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킹덤’이 ‘옥자’와 달리 단일 콘텐츠가 아닌 시리즈물로 기획되었다고는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킹덤’을 소비한 후 추가 유인이 없다면 대거 이탈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때문에 현재 ‘킹덤’으로 유입된 Netflix 이용자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충성도를 고취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지속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니즈를 분석하고 확인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 Netflix PC+Mobile(Android) 순이용자수 추이 -

 

 Netflix 이용자들은 비이용자 대비 평균적으로 Digital 동영상 소비가 2배 이상 많아 Digital 영상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지만, 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또 다른 디바이스인 TV에서의 영상 소비도 비이용자 대비 못지 않게 많을 뿐 아니라 절대 소비량으로 따지면 Digital보다 TV를 통한 영상물 소비가 2배 이상 더 많아 국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 많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특히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Netflix 이용자 중 가장 큰 많은 이용자 및 활동성 비중을 차지하는 1020 세대는 다른 세대와는 달리 Netflix 이용자가 오히려 비이용자보다 더 TV 소비가 1.5배 가량 많아, 이 세대는 특히나 TV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니즈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etflix 이용자/비이용자의 전체 및 연령그룹별 TV/Digital동영상 월평균이용시간 -

 

 

1020세대는 Netflix 이용자가 비이용자 대비, 3040과 5060세대는 비이용자가 이용자 대비모든 TV 프로그램 장르의 소비가 많은 상반되는 현상이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모든 연령대와 그룹에서 ‘드라마&영화’와 ‘오락’ 장르의 프로그램 소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Netflix 핵심 이용자층인 1020세대는 Netflix 이용자가 비이용자 대비 ‘드라마&영화’와 ‘오락’ 장르의 프로그램 소비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Netflix 1020세대는 ‘드라마&영화’를 동일 세대 비이용자 대비 3배이상 많이 시청할 뿐 아니라 모든 그룹을 통틀어 가장 많은 ‘드라마&영화’를 시청하는 그룹인 것으로 나타나, 해당 연령층의 국내 방송 콘텐츠에 대한 소비 니즈 충족이 향후 지속적인 서비스 성장을 위한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Netflix 이용자/비이용자의 세대별 TV 프로그램 장르별 월평균이용시간 -

 

 

3. 맺음말

 Netflix는 이번에 개봉한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을 통해 다양한 이용자 층으로 이용자 저변을 확대시키고 충성도를 높이는 등 내실을 다졌을 뿐 아니라,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존재하는 치열한 경쟁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외적 성장도 거두었습니다. 이번 ‘킹덤’ 효과가 일시적인 효과에 그칠까 우려되는 바가 있지만, Netflix는 자체 제작과 같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및 영상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동시에 한국의 시장상황과 소비자 니즈에 발맞춰 콘텐츠를 공급하기 위해 각 방송사 및 통신사와 협업 범위를 넓히는 전략으로 매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 유료 동영상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콘텐츠 제작 파워와 플랫폼 영향력 확대, 그리고 끊임없는 소비자 니즈 파악과 반영이라는 강점을 활용하여 Netflix만의 영향력을 얼마나 넓혀갈지 앞으로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됩니다.

 

 

 

 

반응형

댓글()

[시장분석]모바일 리워드 서비스의 다변화와 성장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8. 23:31
반응형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의 다변화와 성장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는 광고 시청이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같은 특정 액션에 대한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를 제휴처 쿠폰이나 현금으로 전환시켜주는 것으로, 특별한 소비활동 없이 포인트를 모으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카드사 및 유통사의 적립/멤버쉽 서비스와 차별화된 이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는 과거 ‘잠금화면형’ 서비스가 주를 이루었으나, 16년 이후 특정 액션을 통해 리워드를 지급하는 유형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출시되었습니다. 17년 초에 출시된 ‘만보기형’ 서비스 ‘캐시워크’는 Tier 1 서비스 ‘캐시슬라이드’에 버금가는 서비스로 성장하였고, 최근에는 ‘잼라이브’, ‘더 퀴즈 라이브’등 특정 시간대 퀴즈 생방송을 통해 리워드를 지급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워드 서비스가 출시되며 서비스가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 주요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출시 현황 -

 

 이에 따라 향후에는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바, 본 토픽에서는 현재 서비스되고있는 리워드 서비스를 리워드 지급 방식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별로 이용행태의 차이를 밝히고 이로부터 효과적인 리워드 서비스 전략 및 리워드 서비스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제언하고자 합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유형별 정의 -

 

 1.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전반적 이용행태 분석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는 유저들의 반응을 쉽게 이끌어낼 수 있으며 회원가입, 소셜 공유 등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될 수 있어 모바일 마케팅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발달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형성되었던 리워드 시장은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증가와 함께 성장하며 18년 5월 약 976만명이 이용하는 주요 서비스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전체 순이용자수 추이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는 여성의 이용자수 비중이 약 52%로 남성에 비해 높고, 주로 30~40대가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가구소득을 관리하는 30~40대 여성의 특성상 할인/쿠폰 등 혜택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여집니다. 한편, 10~20대의 경우 총이용시간 비중이 약 26.5%로 이용자수 비중인 29.7%보다도 작아 상대적으로 라이트한 이용행태를 보이는데, 이는 소셜미디어, 동영상 서비스 등 타 서비스에 집중된 이용을 보이는 연령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전체 성/연령별 인구분포 -

 

 코리안클릭의 기준에 따라 정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2레벨 카테고리 총 69개의 도달률을 살펴보면,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이용자는 비 이용자 대비 대부분의 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도달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도달률도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이용자는 37.5%인데 반해 비 이용자는 31.4%로 낮은데,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동안 다양한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실제 애플리케이션 이용으로 까지 이어지는 행태가 영향을 미친 결과로 해석됩니다.

 

또한, 2레벨 카테고리 중에서도,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이용자는 전자상거래와 금융 서비스의 하위 카테고리들의 도달률이 비이용자 대비 매우 높아 모바일 커머스 활용에 익숙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리워드 앱 내에서 접한 광고를 보고 실제 소비로 전환시키기에 유리한 집단이라는 점에서 마케팅 타겟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이용자 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달률 -

 

2.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유형별 이용행태 분석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의 초기 성장을 견인하였던 ‘잠금화면형’ 서비스는 이용자수와 평균 이용시간 모두 여전히 타 유형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16년 상반기 이후부터 이용자 규모 및 활동성이 모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17년 상반기 출시된 ‘만보기형’ 서비스는 지난 1년새 이용자 규모가 크게 성장하였으며, 평균이용시간 측면에서는 오히려 ‘잠금화면’형 서비스를 역전하였습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유형별 순이용자수 추이(좌) 및 평균이용시간 추이(우) -

 

 서비스 유형별로 인구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잠금화면형’ 서비스는 30~40대 여성 중심으로 전체 서비스의 주 이용층과 유사하나 10~20대의 비중이 낮은 특징을 보였습니다. 반면, ‘자동적립형’과 ‘만보기형’ 서비스는 기존 리워드 서비스 대비 10~20대 이용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잠금화면형’ 서비스의 이용자가 감소한 시기에 10~20대에서 주로 이탈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이 ‘자동적립형’과 ‘만보기형’ 서비스로 유입된 영향으로 추정됩니다. ‘기타 액션형’과 ‘퀴즈쇼형’ 서비스는 남성 이용자의 비중이 각각 54.4%, 53.8%로 타 유형 대비 남성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두 유형의 서비스 경우 공통적으로 포인트 획득을 위해 타 유형 대비 더 많은 관여가 필요한 것으로 리워드 획득의 난이도가 성별 선택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유형별 성/연령 순이용자 인구분포 -

 

3. ‘잠금화면형’과 ‘만보기형’ 서비스 이용자 특성 분석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중 두각을 나타내는 서비스 유형은 ‘잠금화면형’과 ‘만보기형’ 서비스입니다. 이 두 유형의 서비스는 앞서 인구 구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 외에도 타 서비스별 활동성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먼저 ‘만보기형’ 서비스 이용자는 소셜미디어 및 생활정보 세부 서비스에서 ‘잠금화면형’ 서비스 대비 활동성이 높게 나타납니다. 캐시워크로 대표되는 ‘만보기형’ 서비스는 걸음 정보를 축적하여 기간별 건강상태를 체크해줄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이 실시간 소식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뉴스피드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강점으로 ‘만보기형’ 서비스들이 커뮤니티 형성 및 일상관리 욕구 높은 집단을 유입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유형별 이용자의 소셜미디어 및 생활정보 평균이용시간 비교 -

 

 '잠금화면형' 서비스 이용자는 타 유형 대비 모든 게임 장르의 평균 활동성이 높다는 특징을 보입니다. 대부분의 게임 사업자들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촉진 수단으로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게임 활동성이 높은 ‘잠금화면형’ 서비스 이용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 노출 뿐 아니라 다운로드와 실제 이용까지 연계되기 적합한 대상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유형별 이용자의 게임 장르별 평균이용시간 비교 -

 

 

4. 맺음말

 대표적인 ‘만보기형’ 리워드 서비스인 ‘캐시워크’가 건강관리 및 커뮤니티 형성이라는 기능을 통해 Tier 1 서비스 진입을 바라보고 있으며, 최근 출시된 ‘퀴즈쇼형’ 서비스인 ‘잼라이브’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하며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이로 볼 때 최근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의 트렌드가 단순히 광고 노출과 리워드의 교환이 아니라, 리워드와 함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 것임을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렇듯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들이 출시되며 성장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기존 사업자들은 서비스 개선과 함께 서비스 다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실제로 모바일 리워드 Tier1 서비스인 ‘캐시슬라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NBT그룹이 ‘캐시슬라이드-스텝업’, ‘캐시슬라이드-노랑 브라우저’, ‘더 퀴즈 라이브’등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를 출시하며 시장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은 경쟁관계에 있는 타 사업자들이 눈여겨봐야 할 점입니다.

리워드 마케팅을 진행하는 사업자들 역시 리워드 서비스가 다변화되는 현 상황을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리워드 마케팅은 앱 다운로드, 소셜 페이지 반응, 회원가입 등 목표로하는 다양한 KPI를 달성하기에 매우 효율적인 동시에 체리피커의 존재로 인하여 유지율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서비스 유형별로 이용자 구성이나 이용자별 선호 서비스가 극명해지는 현 상황에서 자사 서비스에 적합한 리워드 매체를 분석하고 선택할 수 있다면 리워드 앱으로부터 유입된 유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트렌드에 비춰볼 때 타 카테고리 기능과 접목하여 이용자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리워드 서비스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효과적인 서비스 기획 및 리워드 마케팅을 위한 매체 전략을 위해 리워드 서비스 이용자들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

[시장조사/분석]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이용 형태 분석

지식상식/지식 Topic|2019. 4. 2. 13:32
반응형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이용 형태 분석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이용 형태 분석

 

 

1. 주택 시장의 변화와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최근 몇 년간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은 가중 되어 왔습니다. 이에 주택매매 대신 전월세, 특히 월세 형태의 주택 임대차 시장의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주택매매와 전월세 거래량은 각각 947천 건과 1,674천 건으로, 전월세 거래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63.8%로 최근 4년 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 거래건수의 비중은 2017년 42.5%로 절반에 육박하는 수준을 보였습니다.


-주택 연간 전월세 거래량 및 월세 거래 비중-

국토교통부, '주택 전월세 거래량 추이'국토교통부, '주택 전월세 거래량 추이'



 또한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중은 2015년 27.2%에서 2045년에는 36.3%까지 증가할 전망으로, 이에 따른 향후 가구 및 주거 형태의 변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주택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과 1인 가구를 중심으로 한주거지 이동 빈도의 증가를 배경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매물에 접근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부동산 중개 플랫폼 서비스가 성장했습니다.


 2-3월은 전월세 부동산 시장이 가장 활발해지는 시즌으로, 사전 정보 탐색을 위한 온라인 부동산 중개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수요 역시 이와 맞물려 증가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이번 토픽에서는 전체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및 부동산 서비스 내 세부 유형과 개발 서비스의 이용 형태 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2017년 월별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건수의 상대적 비중 추이-

국토교통부, 연간 유형별 거래건수의 합을 100이라 했을 때, 각 월에서 발생한 거래건수의 비중



 본 분석에서는 '부동산 서비스'의 대상을 전문 부동산 분양, 청약, 중개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주요 포털 웹사이트 내 부동산 섹션, 그리고 이 외에도 정부 기관이나 금융 서비스 중 부동산 분양, 청약,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정의하고, 그 범위 내에 2018년 2월 코리안 클릭 순 이용자수 기준 PC Web Top 10 부동산 서비스와 Mobile App Top 10 부동산 서비스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서비스 유형별 분석서비스 유형별 분석



2.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전반적 이용 형태 분석

 주택은 일반 소비재와는 달리 대체성이 없는 생존 필수재로, 큰 거래 금액과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이용자들이 정보 탐색 시 높은 관여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는 큰 화면을 통한 정보 습득을 위해 PC를 First Device로 한 서비스 이용 형태가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하는 주택 매매 가격으로 인해 임대차 주택의 수요가 증가했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1인 가구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Mobile App을 중심으로 기존 부동산 서비스와 차별화된 새로운 서비스들이 성장했습니다.


 부동산 서비스 PC와 Mobile 합산 전체 순이용자수는 2018년 1~2월 평균 9.3백만명으로 최근 5년 동안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디바이스 간 이용 형태의 변화가 확인 되었습니다. 여전히 PC를 통한 부동산 서비스 이용자수가 Mobile 대비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지만, PC의 이용규모는 축소되고 있는 반면 Mobile App을 중심으로 한 이용 규모가 확대 되었습니다.


-디바이스별 부동산 서비스 순 이용자수 추이-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4-2018), 각 년도 1월,2월 순이용자수 평균



 디바이스 조합별 순이용자수 비중 추이에서도 Mobile을 단독으로 이용자 비중이 과거에 비해 증가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30대 이하 연령층을 중심으로 중개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2016년과 2017년 사이 Mobile Only 순이용자수 비중이 6.3%p로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디바이스 조합별 순이용자수 비중 추이-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4-2018), 각 년도 1월,2월 순이용자수 평균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이용자의 인구 특성은 30대 이상 남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수도권 지역 거주자와 하이트 칼라, 월 500만원 이상 고소득 이용자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는 매물시세확인, 분양 계획 탐색, 그 외 부동산 관련 뉴스 구독 등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요가 안정된 생활 수준을 가진 이용자 집단에서 집중되어 발현된 결과로 보여집니다.



-부동산 서비스 전체 이용자의 인구통계 특성-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2)




3.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전반적 이용 형태 분석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유형의 주요 포털 사에서 제공하는 ' 포털 부동산 서비스', 임대인 혹은 중개업자의 매물과 임차인을 연결하는 플랫폼인 '중개 서비스', 각종 매물의 현 시세를 확인할 수 있는 '시세 확인 서비스', 그리고 아파트나 정부 산하의 임대 주택을 대상으로 한 분양, 청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 분양 청약 서비스' 총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PC와 Mobile을 합산한 순이용자수를 살펴보면, 포털 부동산 서비스가 약 6.2백만 명으로 가장 높았고, 중개 서비스, 시세확인 서비스, 분양 청약 서비스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포털 사이트에 대한 습관적 이용 형태가 부동산 서비스 시장에도 적용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디바이스별로는 대부분의 유형에서 PC 이용자 커버리지가 Mobile을 앞선 가운데, 중개 서비스에서 유일하게 Mobile 커버리지가 PC 대비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Mobile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중개 신규 서비스의 시장 진입 과정에서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매물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Mobile 부동산 서비스의 특성으로 40대 이하 신규 이용자들이 대거 유입되며 전체 적인 Mobile 이용자수를 확보한 결과로 보여집니다.



-부동산 서비스 유형별 순이용자수(좌) 및 디바이스 커버리지(우) 비교-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2) (e디바이스 커버리지는 유형별 전체 순이용자수 중 각 디바이스의 순이용자수)



 부동산 서비스 유형의 각 특성이 반영되어 이용자 연령층 분포는 상이하게 나타났습니다. 중개와 분양 청약 서비스에서는 30대 이하 저연령층의 비중이 높은 반면, 포털 제공 서비스 및 시세확인 서비스에서는 40대 이상 고연령층의 비중이 높았습니다. 실거주를 위한 아파트 분양, 청약, 전월세 매물 검색을 위한 중개 서비스의 수요가 높은 30대 이하와 투자 목적의 시세확인이나 택지 개발 계획 검색 등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탐색에 대한 니즈가 높은 40대 이상에서의 분극화된 목적으로 인한 현상으로 분석됩니다.



-부동산서비스 유형별 연령대 순 이용자 수 비중 비교-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2)



 부동산 서비스 유형에 따른 월별 상대적 이용규모를 분석해보면, 전체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순잉요자수는 1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주택 전월세 거래가 가장 활성화되는 2-3월 직전인 1-2월 동안 매물 검색을 위해 부동산 중개 서비스 이용 니즈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택 매매거래량이 가장 높은 6-8월에는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며 포털 내 부동산 서비스의 이용자수는 상승하는 모습이 목격되었습니다.



-부동산 서비스 유형에 따른 월별 상대적 이용규모 Heat Map-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6.03~2018.02)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유형에 따른 시간대별 순이용자수 도달률을 비교해보면, 전체적으로 09-11시의 오전 시간대와 16시 전후의 오후 시간대의 이용이 두드러졌습니다. 유형별로는 포털제공 서비스와 시세확인 서비스가 09-11시의 오전 시간대에 이용이 가장 높고, 중개 서비스는 16시 전후의 오후 시간대에 주 이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는 40대 이상 고연령층이 PC를 통해 주로 이용하는 포털 및 시세 확인 서비스와 30대 이하 저연령층이 Mobile을 통해 이용하는 중개 서비스의 상이한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유형에 따른 시간대별 순이용자 도달률-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2)


 주중과 주말의 유형별 도달률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주중이나 우세하나, 주말에는 중개 서비스가 포털이나 시세확인 서비스보다 높은 도달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30대 이하 젊은 연령층들이 주말을 이용해 집중적으로 전월세 매물을 탐색한 후 즉시 오프라인에서 매물을 확인하고자 하는 수요에서 기인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부동산 서비스 유형별 주중/주말 이용자 도달률 비교-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2)


 주중과 주말의 유형별 도달률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주중이나 우세하나, 주말에는 중개 서비스가 포털이나 시세확인 서비스보다 높은 도달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30대 이하 젊은 연령층들이 주말을 이용해 집중적으로 전월세 매물을 탐색한 후 즉시 오프라인에서 매물을 확인하고자 하는 수요에서 기인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4. 주요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경쟁 관계 분석

 개별 부동산 서비스 트래픽을 분석한 결과, PC에서는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서비스의 이용자수가 압도적인 반면, Mobile에서는 직방과 다방 등 Mobile App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부동산 중개 서비스가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 중 PC와 Mobile App 각각의 Top 2 서비스인 네이버부동산, 다음부동산, 직방, 다방 이용자의 특성과 서비스 간의 경쟁관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PC/mobile 부동산 서비스 이용자수 TOP 10-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1~2018.02)



 전체 부동산 서비스 이용자 집단의 성, 연령, 거주지역, 직종, 월소득 등 인구 특성과 주요 개별 부동산 서비스의 인구 특성을 비교해보면, 중개 서비스인 '직방'과 '다방'의 경우 30대 이하 연령층과 비수도권 거주자, 화이트칼라 외의 직종 종사자 그룹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이는 비수도권 거주자 중 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을 중심으로 수도권 거주 목적의 높은 전월세 수요에 따른 결과로 보여집니다. 네이버 부동산과 다음 부동산은 40대 이상 연령층과 수도권 거주자, 화이트칼라 직종 종사자 그룹의 강세가 두드러지면, 이는 세사확인이나 부동산 시장 동향 및 정보 탐색을 위한 이용이 주가 되는 이용형태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주요 부동산 서비스의 인구특성별 이용자 수 구성비-

(부동산 서비스 전체 이용자 집단과의 비교)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2)



 주요 서비스 간 중복 이용률을 살펴보면, 포털의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모든 서비스에서 '네이버 부동산'과 중복 이용률이 높은 가운데, '직방'과 '다방'은 상호 서비스 간 중복 이용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아 강한 경쟁이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 다방' 이용자의 ' 직방' 중복 이용률은 39.3%로 '직방' 이용자의 '다방' 중복이용률에 두 배 앞서며, Mobile App을 기반으로 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시장에서 '직방'에 여전히 강한 First-Mover Advantage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요 부동산 서비스 별 타 서비스 중복 이용률 비교-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8.02)


 '직방'과 '다방'의 중복 이용자수는 과거 대비 67% 증가했으며, 두 서비스의 Mobile App 중복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 이용자마다 더 긴 이용시간을 머무는 서비스를 주이용 서비스라 정의하고, 주이용 서비스 순이용자수의 비중 추이를 비교했을 때, '직방'의 주이용자수 비중은 2016년에 73.2%이었으나 2018년에는 55.1%로 감소하며 '다방'과의 격차가 좁혀졌습니다.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두 사업자의 경쟁 구도 강화로 Mobile 상의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시장은 과거 대비 치열해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직방/다방 Mobile App 중복이용자수와 중복이용자의 주이용 서비스 순이용자수 비중 비교-


Figure 3 Nielsen Koreanclick PC&Mobile Behavioral Data (2016.01~02, 2018.01~02) 각 년도 1월, 2월 값의 평균


 '직방'과 '다방'의 중복 이용자수는 과거 대비 67% 증가했으며, 두 서비스의 Mobile App 중복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 이용자마다 더 긴 이용시간을 머무는 서비스를 주이용 서비스라 정의하고, 주이용 서비스 순이용자수의 비중 추이를 비교했을 때, '직방'의 주이용자수 비중은 2016년에 73.2%이었으나 2018년에는 55.1%로 감소하며 '다방'과의 격차가 좁혀졌습니다.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두 사업자의 경쟁 구도 강화로 Mobile 상의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 시장은 과거 대비 치열해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5.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경쟁 구도 강화 및 향후 전망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1위 사업자인 네이버는 2018년에 접어들며 PC와 Mobile 내 부동산 서비스를 개편했습니다. PC에서는 매물을 검색할 수 있는 지도의 크기를 확장하여 큰 스크린의 활용도를 향상시켰고 검색필터의 사용성을 개선하여 PC 부동산 서비스 내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Mobile App에는 키워드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중복 매물을 통합하며, 지도의 길 찾기 기능과 연동하는 등 부동산 서비스 Mobile App 1~2위 사업자인 '직방'과 '다방'을 겨냥한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Mobile App 중개 서비스 선두 사업자인 '직방' 또한 전월세 임대 매물을 넘어서 최근 아파트 매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오픈했고, VR 기술을 도입하여 'VR 홈투어' 서비스를 제공하으로써 이용자들이 매물의 실제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했습니다. '다방'은 '다방샾'이라는 세부 서비스를 론칭, 생활/리빙 카테고리의 e-커머스 영역으로 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부동산 대출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KB국민은행의 '리브온(Liiv On)', 실거래가, 인구이동, 공급량 등 매물의 종합정보를 제공하는데 특화된 '호갱노노', 빌라 전문 부동산 중개 서비스 '집나와', 사무실 상가 전문 부동산 중개서비스 '네모'등 차별화된 기능과 영역을 앞세운 새로운 서비스들의 시장 진입도 주목할 만한 부분입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가격의 상승세와 가구 형태의 변화로 인해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상승하고, 사업자들의 서비스 개선 및 비즈니스 모델 확장으로 인해 향후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 서비스가 경쟁 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타사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확장하고 질적 성장을 추구함과 동시에 서비스 내 정보 및 콘텐츠의 신뢰성 확보로 이용자들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주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댓글()

[사례조사] 온라인 서비스 데이터 수집 방법.

지식상식/기획|2019. 4. 1. 21:40
반응형


신규 서비스 기획신규 서비스 기획 사례조사


우리는 온라인 서비스에 필요한 사례조사 데이터 분석 등을 어디서 모을까?


  대학교의 수업, 동아리 모임, 사업계획서 작성, 서비스 기획 등 가장 필요한 사전조사를 하기 용이한 사이트를 모았습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벤치마킹인데요. 어디서 부터 시작할지 난감한 사항이 많습니다. 특히, 온라인 서비스를 기획할 경우 경쟁사 분석이 가장 중요하지만, 이 데이터를 어디서 사례를 모으는지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스타트업관련 마케팅 서비스 소개는  2019/03/26 - [지식상식/마케팅] - [스타트업 채널 활용] 무료 마케팅 방법 이전 글을 참고해 보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목적 : 서비스 분류 작업 : 회사, 서비스명, 투자금액, 업력 정리

the vc mainthe vc main

  온라인 서비스를 기획하기 전에 제가 주로 찾던 방법은 최근 이슈의 트랜드적 분석입니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고 해도, 최근의 온라인 서비스의 투자를 받은 업체가 어디지인지, 어떤 서비스인지 부터 "마켓시장"을 파악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thevc 업체 검색thevc 업체 검색

저는 보통 회사 내,외부에서 기획 일을 시작하면, 이사이트에서 동향을 파악합니다. 대체적으로 SeriseA 투자가 진행 된 서비스, 카테고리명으로 구분하여 선택 정렬이 가능합니다. 키워드는 디테일하게 세분화 되어 있으며, 현재 투자 금액이 어느정도 까지 반영되어 있는지 등을 검색해 볼 수가 있습니다. 또한 유사도 분석을 통해 해당 온라인 서비스 분석, 조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전체 "마켓" 시장의 흐름과 투자 금액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루트입니다. 대체적으로 저는 진행 업력과 서비스를 하고 있는 회사, 서비스명, 투자금액, 등을 "분류" 할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목적 : 네이버 PC, 모바일 키워드 검색 및 연관 검색어 조사. / 서비스 이름 결정 기준 데이터 (네이버 기준)

surfsurf


 현재 트래픽의 조사, 서비스명, PC, 모바일의 키워드 검색량을 보기 좋고, 깔끔하게 정리해 놓은 사이트 입니다. 앞서 온라인 서비스의 다양한 서비스를 조사 하였다면, 현재의 키워드 검색량이 어느정도 인지 확인 합니다. 가장 깔끔하게 기획자가 원하는 트랙픽량만 조사해 놓은 사이트이며, 현재 무료로 운영 되고 있습니다. 월간 검색수, 월평균 클릭 수, 월평균클릭율 등을 조사할 수 있으며, 경쟁정도, 월평균 노출광고수로 마케팅 시 연관검색어의 가격 정도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경쟁정도가 낮다면, 구글 광고나, 네이버 광고 등록시 비용이 낮거나, 검색량이 낮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입이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서비스의 이름을 결정 할 때 중요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적 : 온라인 시장 키워드 검색 순위, 방문유입, 이탈율, 조사 분석

alexaalexa

알렉사(Alexa)는 키워드 검색 분석 전문 사이트 입니다.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전세계 순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헤더 메뉴에서 Features > Website Traffic Statistics 메뉴를 선택해 보시면 1위부터 100위 까지는 무료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부분 유료화 정책을 사용하고 있지만, 해당 서비스의 유입과 순위 이탈율 등을 조사하는데 큰 무리는 없습니다.

alexaalexa

삼성으로 검색시 전체 글로벌 301위 미국 298위 등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릴 경우 검색유입으로 39.8%, 이탈율은 52.1% 1인 페이지 뷰 2.94, 체류시간은 3:25분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어떤 키워드로 주로 검색하여 들어오는지 검색하는 사이트는 네이버인지, 구글인지, 삼성인지 등과 같이 다양한 웹사이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경쟁사 분석 또한 이사이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목적 : 시장조사, 분석

닐슨코리아

닐슨코리아는 유명한 통계,조사, 분석 전문 서비스업체 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유료일거라 생각하시겠지만, 저는 여기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다양항 통계자료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국내 통계청이나, 삼섬연구소, 한국 콘텐츠 진흥원 등 다양한 전문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사이트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우리는 가공하기에는 시간적 요소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공된 문서화된 데이터 수집에 있어서 닐슨코리아가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합니다. 기본적인 시간 세이브를 할 수 있으며, 닐슨코리아 채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분석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말그대로 정보의 바다라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사이트를 잘 사용하시면, 보다 서비스 기획시 필요한 사전조사의 기본은 어느정도 습득이 가능하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 무료 마케팅 방법

2019/03/26 - [지식상식/마케팅] - [스타트업 채널 활용] 무료 마케팅 방법

반응형

댓글()

2019년 2월 한국 TOP10 조사 (TV/웹,앱)

서비스소개|2019. 3. 26. 15:33
반응형

2019년 2월 한국 TOP10 조사 (TV/웹,앱)



한국인들이 즐겨 보는 TV 프로그램, 즐겨 찾는 웹사이트, 즐겨 이용하는 모바일 앱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세요.

이 Top 10 리스트는 월간 단위로 업데이트 됩니다.


TV ShowsTV Shows

( 참조 : 닐슨코리아 )

TV 프로그램에서는 하나뿐인 내편이 880만명 시청으로 1위를 차지 하였네요.

그 이후로 SKY 캐슬(금토 드라마)니 650만명으로 2위입니다. 




APPSAPPS

( 참조 : 닐슨코리아 )


APPS은 국내는 메시지 형태의 카카오톡이 순 이용자 2900만명 이네요. 그 다음으로 구글 플레이스토어가 다음 순위를 차지 하였습니다.




WebsitesWebsites

( 참조 : 닐슨코리아 )


WEBSITE 순위로는 네이버가 2800만명을 사용하며, 1위로 나타났습니다.


2위로는 다음 구글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1번가가 6위의 접속 순위로 나타났습니다. 단순히 쇼핑몰이 PC 검색 순위에 오른다는 것이 조금 의외 입니다.








반응형

댓글()